[Golang] 프로그래머스 Lv.1 체육복
체육복 문제에 대해 풀이하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 lost | reserve | return |
---|---|---|---|
5 | [2, 4] | [1, 3, 5] | 5 |
5 | [2, 4] | [3] | 4 |
3 | [3] | [1] |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풀이
실패할 수 있는 케이스
lost
와reserve
가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경우- 예를들어
n=5
lost=[4,2]
reserve=[3,5,1]
인 경우- 4번 학생은 체육복이 없고, 3번 학생이 여벌 체육복을 가지고 있습니다.
- 3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2번 학생이 체육복을 못 빌릴 가능성이 생깁니다.
- 예를들어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경우(다른 사람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음)
- 예를들어
n = 5
lost = [2, 3]
reserve = [3, 4]
인 경우- 여기서 3번 학생은 체육복을 도난당했으나, 여벌의 체육복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에 따라 3번 학생은 자기 자신에게 체육복을 사용하고,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 만약 이 조건을 무시하고 3번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다고 처리한다면, 3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4번 학생이 3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는 시나리오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예를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const UNAVAILABLE = -1
func solution(n int, lost []int, reserve []int) int {
sort.Ints(lost)
sort.Ints(reserve)
answer := n - len(lost)
for i, l := range lost {
for j, r := range reserve {
if l == r {
answer++
lost[i] = UNAVAILABLE
reserve[j] = UNAVAILABLE
break
}
}
}
for _, l := range lost {
if l == UNAVAILABLE {
continue
}
for j, r := range reserve {
if r == UNAVAILABLE {
continue
}
if l-1 == r || l+1 == r {
answer++
reserve[j] = UNAVAILABLE
break
}
}
}
return answer
}
lost
와reserve
를 정렬answer
값 초기화- 전체 학생수
n
에서,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lost
의 길이를 빼줌
- 전체 학생수
lost
를 순회하며reserve
값 중l == r
의 조건을 충족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 문제의 조건
1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lost
와reserve
의 요소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상수UNAVAILABLE
의 값으로 바꿔주고,answer++
(자기 남은 체육복을 자신에게 사용)
- 문제의 조건
- 위 조건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제거한
lost
와reserve
를 순회- 현재 요소
l
이UNAVAILABLE
라면 다음 요소로 넘어감 - 현재 요소
l
이UNAVAILABLE
가 아니라면reserve
를 순회- 현재 요소
r
이UNAVAILABLE
라면 다음 요소로 넘어감 - 현재 요소
r
이UNAVAILABLE
가 아니라면l-1
또는l+1
이 r 과 같은지 비교- 값이 같다면
answer++
(여벌옷을 빌려주어 수업 참여 가능)reserve[j] = UNAVAILABLE
(옷을 빌려줬으므로 더이상 여벌옷이 없음)
- 값이 같다면
- 현재 요소
- 현재 요소
answer
반환
테스트코드
유닛 테스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const TESTCOUNT = 3
var (
n = [TESTCOUNT]int{5, 5, 3}
lost = [TESTCOUNT][]int{
{2, 4},
{2, 4},
{3},
}
reserve = [TESTCOUNT][]int{
{1, 3, 5},
{3},
{1},
}
result = [TESTCOUNT]int{5, 4, 2}
)
func TestSolution(t *testing.T) {
for i := 0; i < TESTCOUNT; i++ {
fmt.Printf("n : %v\n", n[i])
fmt.Printf("lost : %v\n", lost[i])
fmt.Printf("reserve : %v\n", reserve[i])
fmt.Printf("result : %d\n", result[i])
fmt.Printf("solution result : %d\n", solution(n[i], lost[i], reserve[i]))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go test -v
=== RUN TestSolution
n : 5
lost : [2 4]
reserve : [1 3 5]
result : 5
solution result : 5
n : 5
lost : [2 4]
reserve : [3]
result : 4
solution result : 4
n : 3
lost : [3]
reserve : [1]
result : 2
solution result : 2
--- PASS: TestSolution (0.00s)
PASS
ok golang-coding-test/Lv1/gym_clothes 0.273s
Github 바로가기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