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Golang] 프로그래머스 Lv.1 공원 산책

공원 산책 문제에 대해 풀이하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지나다니는 길을 ‘O’, 장애물을 ‘X’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 [“방향 거리”, “방향 거리” … ]

예를 들어 “E 5”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

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공원의 가로 길이가 W,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0, 0), 우측 하단의 좌표는 (H - 1, W - 1) 입니다. problem 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세로 방향 좌표, 가로 방향 좌표]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park의 길이 ≤ 50
    • 3 ≤ park[i]의 길이 ≤ 50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S : 시작 지점
        • O : 이동 가능한 통로
        • X : 장애물
    •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 1 ≤ routes의 길이 ≤ 50
    •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
    •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 routes의 원소는 “op n”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p는 이동할 방향,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 :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S :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W :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E :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1 ≤ n ≤ 9

입출력 예

parkroutesresult
[“SOO”,”OOO”,”OOO”][“E 2”,”S 2”,”W 1”][2,1]
[“SOO”,”OXX”,”OOO”][“E 2”,”S 2”,”W 1”][0,1]
[“OSO”,”OOO”,”OXO”,”OOO”][“E 2”,”S 3”,”W 1”][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0,0] -> [0,2] -> [2,2] -> [2,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 결과적으로는 [0,0] -> [0,2] -> [0,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1] -> [0,0]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const (
	// park constant
	START      = "S"
	POSSIBLE   = "O"
	IMPOSSIBLE = "X"

	// moving direction constant
	EAST  = "E"
	WEST  = "W"
	NORTH = "N"
	SOUTH = "S"
)

type PositionIndex struct {
	row, col int
}

type Park struct {
	Map           [][]string
	rowLiMitIndex int
	colLiMitIndex int
}

type Robot struct {
	current PositionIndex
	park    Park
}

func NewRobot() *Robot {
	return &Robot{current: PositionIndex{row: -1, col: -1}}
}

func (r *Robot) GetPositionIndex() []int {
	return []int{r.current.row, r.current.col}
}

func (r *Robot) SetParkPosition(park []string) {
	r.park.Map = make([][]string, len(park))
	r.park.rowLiMitIndex = len(park) - 1

	for rowIdx, rowStr := range park {
		if r.park.colLiMitIndex <= 0 {
			r.park.colLiMitIndex = len(rowStr) - 1
		}
		r.park.Map[rowIdx] = make([]string, len(rowStr))

		for colIdx := 0; colIdx < len(rowStr); colIdx++ {
			v := string(rowStr[colIdx])
			if v == START {
				r.current.row = rowIdx
				r.current.col = colIdx
			}
			r.park.Map[rowIdx][colIdx] = v
		}
	}
}

func (r *Robot) IsMovePossible(cmd string, distance int) bool {
	if r.current.row == -1 || r.current.col == -1 {
		return false
	}

	switch cmd {
	case EAST:
		if r.current.col+distance > r.park.colLiMitIndex {
			return false
		}

		for i := 1; i <= distance; i++ {
			if r.park.Map[r.current.row][r.current.col+i] == IMPOSSIBLE {
				return false
			}
		}

	case WEST:
		if r.current.col-distance < 0 {
			return false
		}

		for i := 1; i <= distance; i++ {
			if r.park.Map[r.current.row][r.current.col-i] == IMPOSSIBLE {
				return false
			}
		}
	case SOUTH:
		if r.current.row+distance > r.park.rowLiMitIndex {
			return false
		}

		for i := 1; i <= distance; i++ {
			if r.park.Map[r.current.row+i][r.current.col] == IMPOSSIBLE {
				return false
			}
		}

	case NORTH:
		if r.current.row-distance < 0 {
			return false
		}

		for i := 1; i <= distance; i++ {
			if r.park.Map[r.current.row-i][r.current.col] == IMPOSSIBLE {
				return false
			}
		}

	default:
		// just in case..
		return false
	}
	return true

}

func (r *Robot) Move(cmd string, distance int) {
	switch cmd {
	case EAST:
		r.current.col += distance
	case WEST:
		r.current.col -= distance
	case SOUTH:
		r.current.row += distance
	case NORTH:
		r.current.row -= distance
	}
}

func solution(park []string, routes []string) []int {
	r := NewRobot()
	r.SetParkPosition(park)

	for _, route := range routes {
		s := strings.Split(route, " ")
		distance, _ := strconv.Atoi(s[1])

		if r.IsMovePossible(s[0], distance) {
			r.Move(s[0], distance)
		}
	}

	return r.GetPositionIndex()
}
  • 로봇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체를 생성하여 인스턴스마다 자신이 처리해야 할 공원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저장
  • 로봇 구조체는 여러 메서드를 가짐
    • GetPositionIndex : 자신의 index 위치를 가져옴
    • SetParkPosition : 공원의 지도를 설정하고 로봇의 시작 위치를 찾음
    • IsMovePossible : 주어진 방향(cmd)과 거리(distance)로 이동이 가능한지 확인
    • Move : 주어진 방향(cmd)과 거리(distance)로 로봇을 이동

테스트코드

유닛테스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func TestSetParkPosition(t *testing.T) {
	parkTestcases := [][]string{
		{"SOO", "OOO", "OOO"},
		{"SOO", "OXX", "OOO"},
		{"OSO", "OOO", "OXO", "OOO"},
	}

	r := NewRobot()

	for _, tc := range parkTestcases {
		fmt.Println("testcase : ", tc)
		r.SetParkPosition(tc)
		fmt.Println("Map : ", r.park.Map)
	}

}

func TestIsMovePossible(t *testing.T) {
	r := NewRobot()

	cmdTestcase := []string{"E", "N", "S", "W"}
	distanceTestcase := []int{1, 3, 2, 5}

	for i := range cmdTestcase {
		fmt.Printf("%s %d is move possible %t\n", cmdTestcase[i], distanceTestcase[i], r.IsMovePossible(cmdTestcase[i], distanceTestcase[i]))
	}

}

func TestSolution(t *testing.T) {
	parkTestcase := []string{
		"SOO", "OXX", "OOO",
	}
	routesTestcase := []string{
		"E 2", "S 2", "W 1",
	}

	successResult := []int{0, 1}
	result := solution(parkTestcase, routesTestcase)
	for i, s := range successResult {

		if s == result[i] {
			fmt.Printf("success : %d\n", s)
		} else {
			log.Printf("failure : %d, successResult : %d\n", result[i], s)
		}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go test -v
=== RUN   TestSetParkPosition
testcase :  [SOO OOO OOO]
Map :  [[S O O] [O O O] [O O O]]        
testcase :  [SOO OXX OOO]
Map :  [[S O O] [O X X] [O O O]]        
testcase :  [OSO OOO OXO OOO]
Map :  [[O S O] [O O O] [O X O] [O O O]]
--- PASS: TestSetParkPosition (0.00s)   
=== RUN   TestIsMovePossible
E 1 is move possible false
N 3 is move possible false
S 2 is move possible false
W 5 is move possible false
--- PASS: TestIsMovePossible (0.00s)    
=== RUN   TestSolution
success : 0
success : 1
--- PASS: TestSolution (0.00s)
PASS
ok      golang-coding-test/Lv1/park_walk        0.193s

Github 바로가기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